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상위 77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ythamthiennhienvie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mythamthiennhienvie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다성아빠 – IT분석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64,207회 및 좋아요 69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다성아빠 티스토리(대본) : https://foraran.tistory.com/276
USB3.0 to HDMI (가장 저렴) : https://coupa.ng/bZ1GfP
USB3.0 to HDMI (넥시) : https://coupa.ng/bZ1GlZ
USB3,0 to 듀얼HDMI : https://coupa.ng/bZ1HmE
제가 사용하고 있는 USB3.0 to DVI : https://coupa.ng/bZ1KVy
★ 질문 댓글 ★
* 최선을 다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댓글에 답장을 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댓글에 링크주소를 넣으면 자동으로 스팸처리 됩니다.
* 게임은 하지 않습니다. 모르기 때문에 답장 하지 못합니다.
* 개인적으로 좋다고 생각하는 노트북은 사서 리뷰하거나 다양한 영상들로 설명드리기 때문에 추천은 따로 받지 않습니다.
★ 다성아빠 채널 구독자 필수 시청 ★
https://youtu.be/pV9f1U7NwxU
★ 다성아빠 채널 멤버십 가입 ★
https://www.youtube.com/channel/UCmSATnvpjE9gPCPNgwcpuFA/join
★ 다성아빠의 모든 영상은 텍스트로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foraran.tistory.com
★ 다성아빠의 또 다른 채널 ★
생활 가전 및 DIY를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c/다성아빠구매가이드
★ 쿠팡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https://coupa.ng/bJD2BK
데스크탑은 그래픽카드만 달려있어도 2~3대 이상의 모니터 확장이 가능하고 노트북도 최소 1대, 기능에 따라 2대를 추가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데스크탑과 노트북에서 지원하는 확장 모니터 대수는 정해져 있지만, 이것 이상으로 모니터 확장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USB3.0 외장 그래픽카드\” 입니다.
#모니터확장 #USB외장그래픽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노트북 외장그래픽 모니터 연결 – Samsung Members

갤럭시북 플렉스 2 외장그래픽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할 일이 있어서 모니터 연결을 확인하니 전부 내장그래픽에 모니터가 물려있는데,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r1.community.samsung.com

Date Published: 5/21/2021

View: 8424

듀얼 그래픽 노트북에서 외장 그래픽 카드로 고정해 사용하기

사양이 조금 높은 노트북들은 보통 듀얼 그래픽을 사용을 합니다. … 외장그래픽으로 고정 시 밧데리의 소모가 빨라지므로 전원을 연결시에만 사용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zkim0115.tistory.com

Date Published: 7/14/2021

View: 3506

노트북에 모니터 연결해서 듀얼모니터 사용시 외장그래픽 할당 …

안녕하세요 제 노트북은 1660ti인데 집에서 쓸때는 27인치 fhd 모니터 연결해서 듀얼로 쓰거든여. 디스플레이 1번이 노트북, 2번이 모니터 …

+ 여기를 클릭

Source: remiz.co.kr

Date Published: 1/21/2021

View: 7812

NVidia 외장 그래픽 선택 사용 설정방법. 프로그램마다 … – 컴터맨

저는 HDMI 케이블로 연결한 외부 모니터를 사용 중이고, 이런 증상이 발생했을 때 HDMI 케이블을 뺐다가 끼우면 노트북 액정에 화면이 돌아왔다가 …

+ 여기를 클릭

Source: comterman.tistory.com

Date Published: 10/5/2021

View: 2353

노트북 모니터 연결할 때 외장그래픽으로 연결 어떻게 함? – 개드립

일단 디스플레이 어댑터는 내장이랑 외장 둘 다 있는데 노트북에 HDMI 꽂는 부분은 하나밖에 없음. HDMI 옆에 미니 hdmi 인지 미니 dp 인지 모르겠 …

+ 더 읽기

Source: www.dogdrip.net

See also  공공 장소 썰 | (영상툰) 공공장소에서 과한 스킨십👄하는 커플💏 참교육!!💥👊 제발 사람들 앞에서 스킨십은 자제 해주세요!😡💥참교육 모음집💥 [썰토리 영상툰] 인기 답변 업데이트

Date Published: 2/11/2021

View: 2132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듀얼모니터 연결 및 설정으로 데스크탑 …

참고로 노트북듀얼모니터연결은 아래 방법이랑 다르므로 노트북듀얼모니터 연결방법에 대해 궁금하신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로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

+ 여기에 표시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4/1/2021

View: 8638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

대부분의 USB 외장 그래픽카드 제품들은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연결만 하면 바로 모니터 확장이 됩니다. 굉장히 쉽고 간단하죠. …

+ 여기에 보기

Source: foraran.tistory.com

Date Published: 11/15/2021

View: 5934

노트북 외장 그래픽 카드 활성화하는 방법 – 내장 그래픽 끄기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자동 선택’ 에서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 로 변경하면 노트북에 연결된 모든 그래픽 카드 중 가장 고성능인 그래픽카드를 기본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dinonam.tistory.com

Date Published: 11/11/2022

View: 277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 Author: 다성아빠 – IT분석
  • Views: 조회수 64,207회
  • Likes: 좋아요 697개
  • Date Published: 2021. 5. 2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rm4kuWNHHrE

노트북 외장그래픽 모니터 연결

갤럭시북 플렉스 2 외장그래픽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할 일이 있어서 모니터 연결을 확인하니 전부 내장그래픽에 모니터가 물려있는데, 내장 그래픽에 물려있는 모니터 드라이버를 외장그래픽(Geforce MX450)으로 돌려서 받을 수 있나요?

듀얼 그래픽 노트북에서 외장 그래픽 카드로 고정해 사용하기

사양이 조금 높은 노트북들은 보통 듀얼 그래픽을 사용을 합니다.

일반적인 작업을 할 경우에는 내장그래픽으로 동작을 하고 3D프로그램이나 게임을 실행할 때에는 자동으로 외장그래픽으로 전환되어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고사양 프로그램 실행 시 외장그래픽 카드를 사용해야 할 경우도 있으며 일반 작업시에도 외장그래픽을 사용하면 실행 속도가 더 향상되므로 그래픽카드를 외장그래픽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면 PC의 성능을 더 높일 수가 있습니다.

외장그래픽으로 고정 시 밧데리의 소모가 빨라지므로 전원을 연결시에만 사용하고 밧데리 사용 시에는 자동 모드로 사용해야 합니다.

▶ 외장 그래픽이 Geforce 계열인 경우

시작을 눌러 ‘windows 시스템’ 밑의 ‘제어판’으로 들어갑니다.

‘하드웨어 및 소리’로 들어갑니다.

‘NVIDIA 제어판’으로 들어갑니다.

왼쪽의 ‘3D 설정 관리’를 누른후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에서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그 밑의 항목중에 ‘다중 디스플레이/혼성 GPU가속’을 눌러 ‘단일 디스플레이 성능 모드’를 선택하고 ‘적용’을 누릅니다.

‘PhysX 구성 설정’에서 프로세서를 ‘Geforce XXX’를 선택 후 ‘적용’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런 설정이 끝나게 되면 항상 단일 외장그래픽으로 구동이 되게 됩니다.

▶ 외장 그래픽이 Radeon 계열일 경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Radeon 설정’을 클릭합니다.

상단의 시스템을 누릅니다.

전환 가능 그래픽 → 찾아보기 → 응용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선택한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절전, 고성능, 전원에 따라’ 항목 중 ‘고성능’으로 선택합니다.

일부 프로그램은 그래픽 설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는 해당 프로그램이 고성능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내장 그래픽와 외장 그래픽 모두 사용하기 ‘멀티 모니터 사용’

▶ 그래픽 카드 고장 테스트 프로그램 ‘FurMark’

▶ 윈도우10 모니터 주사율을 변경해 모니터 선명하게 보기

노트북에 모니터 연결해서 듀얼모니터 사용시 외장그래픽 할당 질문입니다. > 질문 / 건의 게시판

안녕하세요 제 노트북은 1660ti인데 집에서 쓸때는 27인치 fhd 모니터 연결해서 듀얼로 쓰거든여. 디스플레이 1번이 노트북, 2번이 모니터 이렇게요

dxdiag로 확인해보면 1번이 cpu내장그래픽 2번이 1660쓰는거로 나오는데 그럼 노트북화면으로 프로그램 실행하면

내장그래픽으로 돌리는건가요? 보통 노트북을 서브로 쓰고 모니터로 작업하는데 갑자기 문득 궁금해서여

NVidia 외장 그래픽 선택 사용 설정방법. 프로그램마다 원하는 GPU 설정하기

AMD 내장 그래픽, 자잘한 문제들

저는 꽤 오래전부터 팟플레이어 구버전을 동영상 플레이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즘 팟플레이어와는 스킨부터 다른, 완전 구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 간결하고 직관적인 화면 구성에 필요한 경우 과분하다 싶을 정도로 상세한 설정이 가능하고 가벼워 새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고 구 버전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정보 창에서 팟플레이어 제작 일자를 확인해보니 2017년 1월에 제작한 파일로, 벌써 4년 이상 지난 구 버전이네요.

너무 오래전 버전이라 필요한 기능이 없는 상황이 되면 다른 플레이어로 옮겨야지 생각한지가 꽤 오래되었는데, 윈도우7에서 윈도우8을 거쳐 윈도우10까지, 참 오래도 사용 중이네요.

아무튼 오랫동안 문제없이 사용해 온 팟플레이어인데, 최근 노트북을 바꾼 뒤로 동영상 재생 중 화면이 깨지는 상황이 종종 발생했습니다.

상황인 즉, 동영상을 재생하다가 갑자기 동영상 재생이 느려지면서 멈춘 뒤 화면에 컬러 노이즈가 잔뜩 끼면서 모니터에서는 치지직~ 큰 소리가 나는 증상이었습니다.

‘컬러 노이즈’라고는 하지만 화면 전체에 노이즈가 자글자글하면서 큰 소리로 칙~ 소리가 나는터라 ‘컬러 폭탄’ 느낌입니다.

저는 HDMI 케이블로 연결한 외부 모니터를 사용 중이고, 이런 증상이 발생했을 때 HDMI 케이블을 뺐다가 끼우면 노트북 액정에 화면이 돌아왔다가 다시 외부 모니터에서 정상 출력이 돌아오는 식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동영상 파일이 깨진 것인가? 싶었는데 파일에는 이상 없었고, ASUS ROG Strix G713QM-HG119의 AMD 내장 그래픽 칩셋과 관련해 자잘한 문제들을 겪고 있기에, 이 문제 역시 AMD 내장 그래픽에서 발생하는 문제라 짐작했습니다.

제 노트북의 장치 관리자를 열어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을 보면, AMD Radeon Graphics와 NVIDIA GeForce RTX 3060 Laptop GPU의 두 가지 어댑터가 잡혀 있습니다.

아울러 팟플레이어에서 영상 재생 중 TAB 키를 누르면, 영상 상세 정보가 나오는데, 비디오 코덱과 렌더러 항목에 모두 ‘AMD Radeon Graphics’라고 표시되고 있었습니다.

NVidia 외장 그래픽만 사용하도록 설정

이렇게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 칩셋이 동시에 내장된 노트북(컴퓨터)의 경우, 외장 그래픽을 우선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사실 예전 노트북들은 바이오스에서 내장/외장 그래픽 칩셋을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었고, 바이오스에 설정 옵션이 있다면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최근 출시되는 AMD CPU + NVidia GPU 조합의 노트북은 AMD 내장 그래픽을 끄는 옵션이 제공되지 않고, 제 ASUS ROG Strix G713QM-HG119 노트북 역시 바이오스에는 관련 옵션을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때문에 NVidia 제어판이나 윈도우 설정 등의 차선책을 이용해야 하는데, 바탕화면 오른쪽 하단의 [NVidia 설정] 항목을 클릭해 NVidia 제어판을 열어줍니다.

왼쪽 메뉴에서 [Surround, PhysX 구성] 항목을 클릭한 뒤 [PhysX 설정] 항목의 프로세서를 [NVIDIA GeForce RTX 3060 Laptop GPU]로 설정한 뒤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 왼쪽 메뉴에서 [3D 설정 관리] 항목을 클릭한 뒤 [전역 설정] 탭의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 항목을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로 설정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이제부터 노트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은 NVidia GPU를 우선 사용하도록 설정됩니다.

각 프로그램마다 원하는 GPU 선택 방법

위의 설정은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NVidia GPU를 사용하도록 전체 설정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거의 모든’이라는 말을 덧붙인 것은, GPU 선택 기능을 내장한 프로그램이나 특정 GPU로 고정된 프로그램 등 일부 프로그램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다만, 전체 프로그램을 특정 GPU로 설정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이 특정 GPU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NVIDIA 제어판 왼쪽 메뉴에서 [3D 설정 관리] 항목을 클릭한 뒤 [프로그램 설정] 탭을 클릭하고 [사용자 정의할 프로그램 선택] 항목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 주는데, 저는 팟플레이어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프로그램 추가] 버튼을 클릭했습니다.

만일 이 프로그램 목록에 원하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해 프로그램 파일의 경로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할 프로그램 선택] 항목에 팟플레이어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프로세서 선택] 항목을 클릭한 뒤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를 선택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완료한 뒤 팟플레이어에서 동영상 미디어 정보를 열어보면 NVIDIA Geforce RTX 3060 Laptop GPU로 출력되는 것이 확인됩니다.

저는 노트북 구입 초기에 팟플레이어의 컬러 노이즈 증상을 몇 번 겪은 뒤, NVidia GPU로 출력되도록 설정했고, 이후 이런 문제 증상을 전혀(!) 겪지 않고 잘 사용 중입니다.

아울러 팟플레이어 하단의 [H/W] 버튼을 클릭해 [S/W] 모드로 바꾸면 GPU 하드웨어 가속(DXVA) 모드에서 CPU 연산 모드로 바뀌게 되는데, 이때도 비디오 렌더러는 NVidia 외장 GPU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윈도우10 그래픽 설정에서 GPU 선택

외장 그래픽 드라이버 제어판에서 설정하는 방법 이외에도, 윈도우10에서 기본 제공하는 메뉴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10 왼쪽 하단 검색창에 [그래픽 설정] 이라고 입력한 뒤, 표시되는 그래픽 설정 항목을 클릭해 실행합니다.

[그래픽 설정] 메뉴에는 [그래픽 성능 기본 설정] 항목이 있으며, 여기서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한 뒤

GPU 설정할 프로그램 경로를 찾아 실행 파일을 선택합니다.

저는 팟플레이어가 설치된 폴더로 들어가 PotPlayer64.exe를 선택한 뒤 [추가] 버튼을 클릭했습니다.

[그래픽 성능 기본 설정] 메뉴에 팟플레이어 항목이 추가되었고, 하단의 [옵션] 버튼을 클릭하면 GPU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윈도우10의 기본 설정이니, 다른 칩셋 GPU 사용자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아울러 NVidia 제어판과 동시에 설정할 경우 [그래픽 성능 기본 설정] 옵션이 우선 적용 됩니다.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듀얼모니터 연결 및 설정으로 데스크탑 1대에 모니터는 2대로

1. 이전 주소로 외부에 공유된 글은

3개월간 새로운 주소로 연결을 지원하며

이후 언제든 연결이 끊길 수 있습니다.

2. 블로그 아이디는 한번 변경하면

다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변경하시겠습니까?

노트북 한대에 외부모니터 2개연결할때 디스플레이설정 :: 2cpu, 지름이 시작되는 곳!

노트북 한대에 외부모니터 2개연결할때 디스플레이설정 질문입니다.

첨부에 보시는것과 같이 하나는 1050으로 하나는 내장그래픽(CPU) 로 잡혀있는데

두 모니터 둘다 모두 외장그래픽카드인 1050으로 잡게 하는 방법 아시는지요?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반응형

반가워요. 다성이 아빠예요.

데스크탑은 그래픽카드만 달려있어도 2~3대 이상의 모니터 확장이 가능하고

노트북도 최소 1대, 기능에 따라 2대를 추가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데스크탑과 노트북에서 지원하는 확장 모니터 대수는 정해져 있지만, 이것 이상으로 모니터 확장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USB3.0 외장 그래픽카드”

USB3.0의 전송 속도를 이용해서 모니터를 확장하는 장치로

이 자체가 “외장 그래픽 카드”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은 중요하지 않고

“USB3.0 포트를 이용해서 모니터를 확장한다”

이렇게만 알고 있어도 충분합니다.

본인이 확장하려는 모니터가 HDMI를 지원한다면 “USB3.0 to HDMI 컨버터”

DVI를 지원한다면 “USB3.0 to DVI 컨버터”

이렇게 검색하시면 제품 찾기가 좀 더 수월합니다.

테스트 할 노트북은 레노버 L340 레전드입니다.

고성능 CPU가 달린 게이밍 노트북임에도 불구하고 가성비 제품이기 때문에 모니터 확장이 1대 밖에 되지 않죠.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전용 프로그램이 있다면 직접 설치해도 되지만

대부분의 USB 외장 그래픽카드 제품들은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연결만 하면 바로 모니터 확장이 됩니다.

굉장히 쉽고 간단하죠.

저는 이지넷유비쿼터스 DVI 모델로 6년 전에 구매해서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6년 전 당시에는 이 제품이 가장 좋았던 것 같은데, 지금은 저렴하고 좋은 제품들이 많이 있네요.

지금 구매한다면 아무래도 HDMI 제품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겠죠.

배송비 포함 25,000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는 이 저렴한 제품도 괜찮아 보이고.

넥시에서 나오는 제품들도 품질이 괜찮습니다.

이 두대 모두 수입해서 로고만 붙여 판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둘 중 아무거나 선택하셔도 됩니다.

USB3.0 포트 하나로 2대를 출력하고 싶다면 듀얼모니터 출력 지원하는 컨버터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노트북 자제적으로도 HDMI를 지원하기 때문에 이제품까지 사용하면서 모니터 3대를 확장 할 사용자는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알려드릴 내용은

USB3.0으로 QHD모니터 출력은 되지 않습니다. 1920X1080까지만 출력되기 때문에

QHD급 이상의 모니터가 있다면 노트북의 HDMI단자를 활용하시고,

USB3.0 외장 그래픽카드로는 FullHD모니터만 연결하세요.

그리고 USB2.0은 800X600 해상도밖에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3.0포트를 활용해주세요.

이론적으로 USB포트만 충분하다면 4대 5대, 그 이상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PU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확장 대수가 증가할 수록 노트북이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저전력 노트북 기준, USB 외장 그래픽카드로 1대 정도만 확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래 있는 HDMI를 활용해서 총 2대, 즉 트리플 모니터까지만 권장합니다.

반면 고성능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은 더 많이 확장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은 IT생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노트북 외장 그래픽 카드 활성화하는 방법 – 내장 그래픽 끄기

반응형

Nvidia Geforce RTX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게이밍 노트북

소위 고사양 노트북(게이밍 노트북)이라고 말하는 노트북 제품들은 CPU 내장그래픽 뿐만 아니라 노트북용 외장 그래픽 카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고사양 노트북들은 효율적인 전력소모를 위해 평상시엔 내장그래픽 만을 이용하여 노트북을 구동시키다가 고성능이 필요한 상황(고사양 게임, 그래픽 작업 등)에 외장 그래픽을 활성화 시키도록 초기 셋팅 되어 있습니다. 대게 노트북이 위에서 말한 필요한 상황을 잘 판별하여 상황에 맞는 그래픽카드를 구동시키기 마련이지만 종종 고성능이 필요하여 외장그래픽카드를 구동해야하는 상황에서도 내장그래픽카드를 구동하여 성능이 달려 렉이 걸리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Nvidia 그래픽카드 탑재 노트북 외장 그래픽 활성화

바탕화면 > 마우스 우클릭 > NVIDIA 제어판

일단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NVIDIA 제어판을 들어가야 합니다.

NVIDIA 제어판 > 3D 설정 관리

NVIDIA 제어판에 들어가서 3D 설정 관리에 들어가보시면 ‘전역 설정’ 에서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가 자동 선택으로 되어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효율적인 전력소모를 위한 초기 셋팅입니다.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자동 선택’ 에서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 로 변경하면 노트북에 연결된 모든 그래픽 카드 중 가장 고성능인 그래픽카드를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로 설정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한것처럼 이렇게 셋팅할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가 빠르기 때문에 충전 어댑터를 반드시 장착하고 사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즉 충전 어댑터 없이 노트북을 밖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자동 선택’ 으로 셋팅하고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렇게 전역 설정의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 로 셋팅 하는것보다 좀 더 디테일한 셋팅이 가능한데 바로 전역 설정 옆에 있는 프로그램 설정 입니다.

이처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고성능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숙지하고 프로그램 별로 셋팅해둔다면 좀 더 사용자 자신의 요구에 걸맞는 셋팅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리고 PhysX 구성 설정 옵션입니다. PhysX 프로세서 선택에서 외장그래픽 카드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이 옵션은 물리 효과를 위한 물리 연산을 cpu 가 하도록 할것인가 gpu가 하도록 할것인가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대게 gpu가 하도록 하는것이 효율이 좋습니다.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다음은 Bing에서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써 벨로 P5X | 2350만원짜리 자전거 서벨로 P5X 튜닝작업 (Feat. 궁극의 아어언맨 철인차 Cervelo P5X) 8 개의 정답
See also  비오틴 탈모 후기 | 탈모영양제 비오틴, 진짜 효과있을까? 정리해드립니다. (비오틴 효능, 부작용, 가이드라인)ㅣ비오틴 후기들?ㅣ추천? 비추천? 상위 15개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YouTube에서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데스크탑,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 확장용 \”USB 외장 그래픽카드\” | 노트북 외장 그래픽 모니터 연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