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각 투상 도 | 등각투상도 그리기 상위 254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등각 투상 도 – 등각투상도 그리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ythamthiennhienvie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mythamthiennhienvie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전석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717회 및 좋아요 5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등각 투상 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등각투상도 그리기 – 등각 투상 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늘은 ! 등각투상도를 그려 볼께요

등각 투상 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등각투상도,투시투상도, 특수투상도 종류의 특징 – 고컴고캣

○ 등각투상도는 물체의 정면, 평면, 측면 등을 하나의 투상도에 나타내는 투상법입니다. 직각 좌표계의 세 좌표축이 서로 120도를 이루는 것이 특징 …

+ 여기에 표시

Source: catcom.tistory.com

Date Published: 5/22/2022

View: 4588

투상도법의 종류, 특성, 작도법 – 네이버 블로그

(1) 등각 투상도 : 3면(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면 위에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표현된 투상도이며, 밑면의 모서리 선은 수평선과 좌우 각각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1/2022

View: 5044

등각 투상법과 사투상법 – 미레티아 세킨라

내용상 지적이 들어온 글입니다. 블로그 주인이 바빠서 지금 더 자료를 찾고, 수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ㅠ.ㅜ 다른 자료도 많이 찾아보세요. ㅠ.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iretia.tistory.com

Date Published: 4/21/2021

View: 6145

캐드 등각투상(isometric)도면 그리기. 3D같은 2D도면

오늘은 등각투상 도면에 대해서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등각투상 도면이란 아래 그림처럼 평면상에 X, Y, Z 축을 기준으로 3D처럼 보이게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comfortable-life.tistory.com

Date Published: 1/8/2021

View: 3509

등각투상도를 그리는 법 by 준영 배 – Prezi

등각투상도를 그리는 법. Number of times this content has been viewed 101 Button to like this content Button to share content Button to report this content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prezi.com

Date Published: 9/16/2021

View: 990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등각 투상 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등각투상도 그리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등각투상도 그리기
등각투상도 그리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등각 투상 도

  • Author: 전석진
  • Views: 조회수 8,717회
  • Likes: 좋아요 59개
  • Date Published: 2021. 4. 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hCrkTXoXNE

등각투상도,투시투상도, 특수투상도 종류의 특징

특수투상도에는 축측 투상도와 사투 투상도, 투시 투상도 등으로 구분됩니다. 다시 축측 투상도는 등각 투상도와 부등각 투상도로 나뉘게 됩니다. 각각의 특수 투상도의 차이와 특징, 그리는 방법 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도면을 그릴 때 필요한 부분이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축측투상도

● 축측투상도는 정투상법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를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를 세 축으로 해 하나의 투상도에 모두 나타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축측 투상도에는 등각 투상도와 부등각 부상도가 있습니다.

○ 등각투상도는 물체의 정면, 평면, 측면 등을 하나의 투상도에 나타내는 투상법입니다. 직각 좌표계의 세 좌표축이 서로 120도를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길이가 긴 물체의 경우 긴축을 수평으로 해 등각 투상도를 그릴 수 있습니다. 등각투상도에서는 숨은선은 될 수 있으면 그리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좌표축이 서로 120도를 이루도록 맞춰서 그립니다. 긴축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맞추고 그립니다. 숨은선을 표시하지 않고 그립니다.

○부등각투상도는수평선과 2개의 축선이 이루는 각을 서로 다르게 그린 것을 부등각 투상도라고 부릅니다. 부등각 투상도를 그릴 때에는 3개의 축방향 중에서 2개는 같은 척도로 그리고, 나머지는 보통 3/4, 1/2 등의 다른 척도를 기준으로 그립니다.

사투상도

사투상도는 정면도를 실제 모습대로 그린 후 평면도와 측면도를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투상해 입체적으로 나타낸 투상도를 합니다.

① 정면은 정투상도의 정면도처럼 그립니다.

② 측면이나 윗면은 30도 45도 60도 등의 삼각자로 그리기에 편리한 각도로 경사각을 주어 그립니다.

③ 경사면의 길이는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정면의 길이에 대하여 1, 3/4 ,1/2 의 비율로 그린다.

투시투상도

투시투상도는 투시도법은 물체의 앞 또는 뒤에 화면을 놓고 시점에서 물체를 본 시선이 화면과 만나는 각 점을 연결해 눈에 비치는 모양과 같게 물체를 그리는 투상도를 말합니다. 투상도에 원근감이 표현돼 있으며, 건축, 도로, 교량 등의 다양한 도면 작성에 많이 사용되는 투상도법입니다.

① 평행 투시도는 인접한 두 면이 각각 화면과 기면에 평행한 때의 투시도입니다.

② 유각 투시도는 인접한 두 면 가운데 윗면은 기면에 평행하고, 다른 면은 화면에 경사진 투시도입니다.

③ 경사 투시도는 면이 모두 기면과 화면에 기울어진 투시도입니다.

○ 기면 : 화면과 수직으로 놓인 기준이 평화면 / ○ 화면 : 물체를 투시하여 도면을 그리는 입화면

하트♥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포스팅에 큰 힘이 됩니다.

투상도법의 종류, 특성, 작도법

투상도법의 종류, 특성, 작도법

투상도법의 대상이 되는 물체의 형태와 크기 등을 표현하기 위해 일정한 법칙에 따라 평면상으로 정확히 그려내는 방법을 말한다. 즉, 물체를 평면인 벽 앞에 놓고 그 물체의 뒤에서 광선을 보내면 물체의 화상이 생기게 된다. 그 화상으로 물체의 크기와 모양을 알 수 있다.

1. 투상의 종류와 분류

1) 투상의 종류

– 직투상 : 투사선이 서로 평행하고 투상되는 면이 수직인 경우

– 사투상 : 투사선이 서로 평행하고 투상되는 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

– 투시 투상 : 투서선이 한 점에서부터 출발하여 방사선상으로 발산하는 경우

– 정투상(복투상) : 두 개 이상의 투상면으로 표현되는 투상

– 단면 투상 : 하나의 면에 표현되는 투상(정투상 이외의 투상)

2) 투상도법의 분류

정 투상 복면 투상 축측 투상 평행 투상 단면 투상 등각 투상 2등각 투상 부등각 투상 표고 투상 직사 투상 사 투상 평행 투시 투시 투상 유각 투시 사각 투시

3) 정투상

정투상도는 물체를 직교하는 두 투상면에 투사시켜 그리는 복면 투상으로 물체의 형상을 가장 간단하고 정확하게 나타내며, 물체의 길이, 내부 구조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평면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가구의 배치, 구조 등을 정확히 표시하므로 실제 환경을 느낄 수 있다.

(1) 정 투상의 원리

정투상도의 도법으로는 제 1각법, 제3각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3각법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토목이나 선박 제도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각법을 사용한다.

– 정면도 : 물체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도면

– 우측면도 : 정면도를 기준으로 우측에서 본 도면

– 좌측면도 : 정면도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본 도면

– 평면도 : 정면도를 기준으로 위에서 본 도면

– 저면도 : 정면도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본 도면

– 배면도 : 정면도를 기준으로 뒤에서 본 도면

(2) 제3각법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 투상도법으로 우리나라에서 제도 통칙으로 사용 하고 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투상법이다.

– 3각 안에 놓고 투상하므로 투사선이 투사면을 통과하여 입체에 이르게 된다.

– 3각법은 눈(시점) – 화면 – 물체 의 순으로 진행되며, 보는 위치면에 상에 나타난다.

– 평화면, 측화면을 입화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정면도의 위에 평면도가 놓이고, 정면도의 오른쪽에 우측면도가 놓이게 된다.

– 제3각법은 제1각법에 비하여 도면을 이해하기 쉬우며 , 치수기입이 편리 하고, 보조투상도를 사용하여 복잡한 물체도 쉽고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3) 제1각법

– 1각법은 영국에서 발달한 정투상법으로 유럽과 일본 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토목이나 선박제도 등에 쓰인다.

– 1각법은 눈(시점) – 물체 – 화면 의 순이다.

– 물체를 제1각 안에 놓고 투상하므로 투사선이 물체를 통과하여 투사면에 이르게 되어 보는 위치의 반대편에 상이 나타나게 되고, 3각법과 위치가 반대가 된다.

– 수직으로 교차하는 2개의 가상 평면으로 하나의 공간을 4등분하였을 때, 오른쪽 위의 공간을 제1각(1st angle) 또는 1사분면(1st quadrant)이라 하며, 제1각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2각(2nd angle), 제3각(3rd angle), 제4각(4th angle)이라 한다.

제1각법(1st angle projection)은 물체를 제1각에 놓고 정투상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물체는 눈과 투상면 사이에 있게 된다. 평화면, 측화면을 입화면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정면도의 왼쪽에 우측면도가 놓이고, 평면도는 정면도의 아래쪽에 놓이게 된다.

(4) 제1각법 기호 및 제3각법 기호

원칙적으로 같은 도면에서 제1각법과 제3각법을 혼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도면을 이해하는 데 필요할 경우 혼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제1각법 기호 또는 제3각법 기호를 투상도 부근에 도시하거나, ‘제1각법’ 또는 ‘제3각법’이라 표기하여야 한다.

1각법과 3각법은 정면도를 기준으로 도면의 위치가 다르다. 1각법은 평면도를 정면도의 아래에 배치하며, 3각법은 평면도를 정면도의 위에 배치한다. 또한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의 위치가 반대가 된다.

4) 사투상

– 투상선이 투상면을 사선으로 지나는 평행 투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투상면으로 나타낸다.

– 투사선이 서로 평행하고 투상되는 면은 경사지게 그리는 방법이다.

– 단면 투상으로 정 육면체 세개의 화면이 한 화면에 실제 모양으로 나타난다.

– 폭은 일반적으로 30˚, 45˚, 60˚의 각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물체의 경사면 길기는 정면과 다르게 하여 물체가 실감이 나도록 하기 위해 길이와 높이는 현척으로 그리고 폭은 현척으로 그리거나 1/2, 3/4, 5/8, 3/8으로 축소해서 그린다. 아래 그림의 사투상도는 1/2로 축소해서 그린 것이다. 이 방법은 주로 가구나 원기둥 모양의 물체를 그릴 때 사용한다.

5) 축측투상

– 대상물의 좌표면이 투상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 직각 투상이다.

– 정육면체의 한 정점에서 모인느 세개의 능선이 모두 화면에 경사가 되도록 배치하는 수직 투상이다.

– 축측 투상은 평면, 정면, 측면인 3면이 모두 화면에 그려지는 투상법으로 도면의 크기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 축측 투상은 각 면의 선들이 평행을 이루게 되므로 소점이 없다.

– 축측 투상은 축측 축의 각도에 따라서 등각 투상, 2등각 투상, 부등각 투상으로 구분된다.

(1) 등각 투상도 : 3면(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면 위에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표현된 투상도이며, 밑면의 모서리 선은 수평선과 좌우 각각 30˚씩 이루며, 세 축이 120˚의 등각이 되도록 입체도로 투상한 것이다.

등각투상도는 세 모서리를 0.8165배로 축소해서 그려야 한다. 그러나 편의상 현척(1:1)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 이등각 투상도 : 이등각 투상은 화면의 중심으로 좌우 각이 같고, 상하 각이 좌우 각과 다를 때의 축측 투상을 말한다. 대상물의 정확한 치수를 정하여 입체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기준 수평, 수직선을 긋고, 기선의 교점에서 좌우를 같은 각으로 나누어 필요한 치수를 정하고 입체를 정리하여 완성한다.

(3) 부등각 투상도 : 화면의 중심으로 좌우와 상하의 각도가 각기 다른 축측 투상을 말한다. 세 개의 모서리 중 두 모서리는 같은 척도로 그리고 나머지 한 모서리는 현척으로 그리거나 1/2 또는 3/4으로 축소하여 시각적 효과를 달리하여 나타내는 방법이다.

수평선과 이루는 각은 30˚와 60˚를 많이 사용한다.

6) 표고 투상

– 대상물의 좌표면은 평행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선군의 정투상에 의해서 대상물의 형태를 그리는 도형의 표시방법을 말한다.

– 입체를 평면 위에 두고 기준면에서부터 각각의 높이를 기입하여 표시하는 것을 표고하고 한다.

– 표고 투상은 표고를 기입해서 이것을 기준면 위에 투상한 수직 투상을 말한다.

– 평면도에 기준면으로부터 각각의 높이를 기입해서 그리는 방법이다.

– 지도의 등고선은 같은 위치의 표고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지형의 놓고 낮음을 표시한 것이다.

– 곡면선도, 지형도 등에 사용한다.

7) 투시 투상

일반적으로 투시도라고 부르며, 한 점에 모이는 투사선에 의해 얻는 투상을 말한다. 물체의 원근감을 통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8) 전개도

전개도란 입체물의 표면을 하나의 평면으로 펼쳐서 그리는 도면을 말한다. 철판으로 굽히거나 접어 만드는 상자, 물통, 캐비넷 등과 자동차, 항공기의 부품 도면 작성에 많이 쓰이며 전개도의 종류에는 평행선법, 방사선법, 삼각형법이 있다.

9) 보도 투상

(1) 보조 투상도

대상물의 경사면을 실형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표시하는 투상도를 말한다. 보조 투상도는 경사면과 맞서는 위치에 그린다.

(2) 회전 투상도

투상면이 각도로 인해 실형의 표시가 어려운 경우에 그부분을 회전하여 실형을 표시하는 투상도를 말한다.

즉, 투상면에 대하여 대상물의 일부분이 경사 방향으로 있는 경우, 그것을 투상면에 평행인 위치까지 회전했다고 가정한 다음 그린 투상도를 의미한다. 회전 투상도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의 작도에만 쓰인다.

(3) 부분 투상도

물체의 일부분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하거나 물체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보다 오히려 도면을 이해하기 쉬운 경우에 사용된다.

부분투상도에서 투상을 생략한 부분과의 경계는 파단선으로 표시한다

(4) 국부 투상도

대상물체의 홈이나 구멍 등을 도시하여 알기 쉽게 그리는 투상도를 말한다. 이 때는 투상관계를 나타내야 하므로 중심선, 기준선, 치수보조선 등으로 연결하여 나타낸다.

(5) 부분 확대도

도형의 특정 부분이 너무 작아 치수 기입등이 어려운 경우 확대하여 그리는 투상도를 말한다.

이 때는 해당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확대 비율을 반드시 표시해야 한다.

10) 단면도

– 대상물을 가상으로 절단하고, 그 앞쪽을 제외하고 그린 투상도를 말한다.

– 단면도는 물체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보이지 않을 경우 물체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하는 도법을 말한다.

– 단면도는 투상 법칙에 따라야 하며, 절단면의 위치는 절단선으로 나타내야 한다.

– 단면도는 다른 면과 구분하기 위하여 반드시 45˚의 가는 평행 경사선인 해칭선을 그어 표시한다.

– 단면도는 절단하는 방법에 따라 온 단면도, 한쪽 단면도, 부분 단면도, 회전단면도, 조합에 의한 단면도로 구분된다.

(1) 온 단면도(전 단면도)

물체의 중심에서 반으로 자른 것으로 가정하고 도형 전체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절단면은 물체의 중심선을 지나도록 해야 한다.

(2) 반 단면도(한쪽 단면도)

대칭인 물체를 중심선에서 물체의 1/4을 떼어 낸 것으로 가정하고 도형의 1/2은 단면도, 나머지 1/2은 외형도로 나타낸다.

단면도는 숨은선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아래쪽 외형도에 숨은선으로 내부 형상을 표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3) 부분 단면도

단면도를 따로 그리지 않고 외형도를 그대로 이용하여 내부 형상을 나타내고자 할 때나 축의 키 홈이나 작은 구멍 등 단면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는 부분이 비교적 작을 때, 단면의 경계가 애매해서 도면을 이해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경우 물체의 외형도에서 일부분만을 잘라내어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4) 회전 단면도

단면을 90° 회전시켜서 그린 것이다. 회전단면도는 주로 리브(rib), 암(arm) 등의 단면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별개의 단면도로 그리기보다는 외형도 내의 절단 위치에 그리는 경우가 많다.

(5) 계단 단면도

계단단면도는 투상면에 평행하게 잘린 여러 개의 단면을 하나의 단면도로 나타낼 때 사용한다.

기계치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기계생활

반응형

투상법

투상법의 정의

도면에 작성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일정한 법칙에 의해서 대상물의 형태를 평면상에 도형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말한다.

투상법의 종류

주요 투상법의 특징

종 류 특 징 사투상법 – 물체를 투상면에 대하여 한쪽으로 경사지게 투상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낸 투상법이다.

– 하나의 그림으로 대상물의 한 면(정면)만을 중점적으로 엄밀하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등각투상법 – 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도에서 동시에 볼 수 있도록 그린 투상법이다.

– 직육면체의 등각 투상도에서 직각으로 만나는 3개의 모서리는 각각 120 ˚를 이룬다.

– 주로 기계 부품의 조립이나 분해를 설명하는 정비지침서 등에 사용한다. 투시투상법 – 건축, 도로, 교량의 도면 작성에 사용된다.

– 멀고 가까운 원근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나의 시점과 물체의 각 점을 방사선으로 그리는 투상법이다. 부등각투상법 – 수평선과 2개의 축선이 이루는 각을 서로 다르게 그린 투상법이다.

제 1각법과 제 3각법

제 1각법 제 3각법 투상면을 물체의 뒤에 놓는다. 투상면을 물체의 앞에 놓는다. 눈 ☞ 물체 ☞ 투상면 눈 ☞ 투상면 ☞ 물체

※ 3각법의 투 상방 법은 눈 ☞ 투 상면 ☞ 물체로써, 당구에서 3쿠션을 연상시키면 그림의 좌측을 당구공, 우측을 당구 큐대로 생각하면 암기하기 쉽다. 1 각법은 공의 위치가 반대가 된다.

투상도

물체를 도면에 표현하기 위해 물체의 한 면 또는 여러면을 그리는 것으로 길이가 긴 물체는 길이 방향으로 놓은 상태로 그려야 한다.

투상도의 종류

종 류 특 징 회전 투상도 – 각도를 가진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 부분을 회전해서 나타낸다. 부분 투상도 – 그림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경우에는 필요한 부분만을 투상하여 그린다. 국부 투상도 – 대상물이 구멍, 홈 등과 같이 한 부분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 사용한다. 부분 투상도 – 특정한 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그 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낼 수 없거나 치수 기입을 할 수 없을 때에는 그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둘러싸고 한글이나 알파벳 대문자로 표시한다. 보조 투상도 – 경사면을 지니고 있는 물체는 그 경사면의 실제 모양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보이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대칭 물체의 투상도를 생략해서 간단히 그리기

단면도를 대칭 기호로 생략 대칭 모양을 파단선으로 생략

모양이 반복되는 투상도를 간략하게 그리기

같은 크기의 모양이 반복되어 여러 개가 있는 경우 모두 그리지 않고 일반만 생각하면 복잡하지 않아 읽기도 쉽다.

길이 방향으로 절단 가능 및 불가능한 기계요소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가 가능한 것 – 보스, 부시, 칼라, 베어링, 파이프 등 KS규격에서 절단하여 도시가 불가능하다고 규정된 이외의 부품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가 불가능한 것 – 축, 키, 암, 핀, 볼트, 너트, 리벳, 코터, 기어의 이, 베어링의 볼과 롤러

핵심 문제

01. 제 1각법과 제 3각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2013년 5회 – 기출)

① 제 1각법은 물체를 1 상한에 놓고 정투상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② 제 1각법은 눈 ☞ 투 상면 ☞ 물체의 순서로 나타낸다.

③ 제 3각법은 물체를 3상한에 놓고 정투상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④ 한 도면에 제 1각법과 제3각법을 같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②

01 – 해설.

제 1각법은 눈 ☞ 물체 ☞ 투 상면의 순서로 투 상면을 물체의 뒤에 놓고 투상을 하는 방법이다.

02. 투상법의 종류 중 정투상법에 속하는 것은? (2014년 1회 – 기출)

① 등각투상법

② 제3각법

③ 사투 상법

④ 투상도법

정답 : ②

02 – 해설.

투상법의 종류 중에서 제1 각법과 제 3각법은 정투상법에 속한다.

728×90

반응형

캐드 등각투상(isometric)도면 그리기. 3D같은 2D도면

반응형

오늘은 등각투상 도면에 대해서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등각투상 도면이란 아래 그림처럼 평면상에 X, Y, Z 축을 기준으로 3D처럼 보이게 그리는것입니다. 3D 처럼 입체적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평면상에 그린 것이므로 X,Y,Z 좌표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2D로 그렸기 때문에 2.5D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수평선을 기준으로 X축과 Y축의 각도가 30도이며, X,Y,Z 축의 각도가 120도로 동일하게 그리는 도면입니다. 주로 여러층이있는 P&ID 도면을 그리는 경우나 3D도면을 그린 후 등각투상 뷰로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아래는 네이버에 나오는 등각투상법의 설명입니다.

캐드에서 등각투상도 스냅으로 바꾸기

캐드로 간단한 3D를 표현해야 할 경우, 캐드에 2D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snap → s → i (iso 그릴때)

snap → s → s (원래대로 돌아가기)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냅을 iso 로 바꾸게 되면 iso 도면을 그릴 수 있게 준비가 됩니다.

등각투상 평면 바꾸기 F5

F5

Ctrl+E

3d 에서는 세가지의 평면에 그림을 그려야 됩니다. 캐드에서 2d로 등각투상도를 그릴때 그릴 평면을 바꾸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f5를 누르거나 Ctrl+E를 누르게 되면 xy평면, yz평면, xz평면이 차례로 바뀌게 됩니다.

등각투상도에서 원 표현하기

el → i

등각투상 도면에서 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ellipse 명령어를 사용해야 됩니다. 단축명령어인 el을 사용한다음 등각원(i)을 선택하게 되면 등각투상 원을 그릴 수 있게 됩니다. f5를 눌러서 원을 그릴 평면을 바꿀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을 사용해서 간단한 등각투상도 그리기

알려드린 방법으로 이런 간단한 등각투상도면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그린 객체들은 2d 객체이기 때문에 shift+휠 드래그로 회전시켜도 평면상에서 회전되게 됩니다. 복잡한 객체는 그리는데 어려움이 있고, 참고용으로 3d 도면을 그릴 경우나 p&id 도면을 작성하는 경우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다음시간에는 치수넣는 방법이랑 등각투상도면상에서 직사각형을 편하게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https://comfortable-life.tistory.com/56

https://comfortable-life.tistory.com/74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등각 투상 도

다음은 Bing에서 등각 투상 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Agua De Garbanzo Para El Cabello | 🔴 ¡No Tires El Agua De Los Garbanzos! 😱 ¡Es Oro! Mira Lo Que Hice.... 102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See also  뮤잉 돌 출입 | 뮤잉 Mewing 하면 교정치료 안해도 돼요(대신🐶힘듦) 8420 좋은 평가 이 답변

See also  자유 연애 시대 다시 보기 | 연애시대 첫번째 이야기... 28700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등각투상도 그리기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등각투상도 #그리기


YouTube에서 등각 투상 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등각투상도 그리기 | 등각 투상 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